
CSS(Cascading Style Sheets)
: 폭포수 스타일 시트
배치, 색상 등 디자인해서 문서를 만드는 것
html : 문서를 구조화 하는 것
필요한 내용을 나열하면 디자인 없는 구조가 나옴
- 스타일은 head라는 태그 안에 작성
- key와 value는 : 으로 구분
- 마무리는 ;
픽셀(px) : 웹 디자인 및 웹 개발에서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
디지털 이미지 및 화면에서 가장 작은 단위로 사용
웹 페이지의 너비, 높이, 여백 등을 정의할 때 주로 이용
해상도에 따라서 픽셀의 크기는 동적인 것
1. Block : 가로 배치


2. Inline : 세로 배치
Inline의 속성 : 내용물의 크기만큼 고정 → 변경할 수 없음





브라우저 입장)
모니터 화면의 크기도 확인하고
내부 크기에 대한 연산이 필요해서 block보다 inline이 더 어려움
3. inline-block
: Inline 처럼 나란히 표시 & Block 처럼 내부의 너비, 높이, 여백을 설정
무조건 사이즈를 지정해서 디자인하고 싶을 때 사용
디자인할 때 유의 사항
- 고유의 값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함
- 고유 값을 전부다 무효화 시키고 디자인 해야 함
모든 태그의 속성을 무효화 시킴
- 크기를 지정하고 싶을 때는 모두 inline-block
크기를 지정하고 싶은데 끝까지 차지하고 싶을 때 Block

CSS가 어려운 이유
모니터 크기마다 수치가 달라져서 디자인이 깨질 수 있음
예시) Body에 뭘 넣느냐에 따라 크기가 변동 ⇒ 동적
내가 설정한 높이와 달라질 수 있음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style>
div {
height: 50px;
background-color: red;
}
</style>
</head>
<body>
<div></div>
<div></div>
<div></div>
</body>
</html>


예시) marg은 외부의 크기
magin: 0 auto → 세로는 0, 가로는 자동으로 배치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style>
div {
height: 50px;
background-color: red;
margin-bottom: 10px;
}
</style>
</head>
<body>
<div></div>
<div></div>
<div></div>
</body>
</html>
margin 값 부여 전

margin 값 부여 후 → magin : 외부에서 공간을 차지하는 것

예시) border는 테두리
padding은 내부의 크기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style>
div {
width: 200px;
height: 200px;
background-color: red;
margin-bottom: 10px;
display: block;
border: 10px solid black;
padding: 10px
}
</style>
</head>
<body>
<div>1</div>
<div>2</div>
<div>3</div>
</body>
</html>
border: 크기 dotted : 점선

border: 크기 solid: 실선

padding 적용 전

padding 적용 후 → 숫자의 위치가 padding의 크기 만큼 이동함

Share article